PD-1

PDCD1
사용 가능한 구조
PDB동원체 검색: PDBe RCSB
PDB ID 코드 목록

2M2D, 3RRQ, 4ZQK

식별자
다른 이름PDCD1, CD279, PD-1, PD1, SLEB2, hPD-1, hPD-l, hSLE1, Programmed cell death 1
외부 IDOMIM: 600244 MGI: 104879 HomoloGene: 3681 GeneCards: PDCD1
유전자 위치 (인간)
2번 염색체
염색체2번 염색체[1]
2번 염색체
PDCD1의 유전자 위치
PDCD1의 유전자 위치
자리2q37.3시작241,849,884 bp[1]
241,858,894 bp[1]
유전자 위치 ()
1번 염색체 (쥐)
염색체1번 염색체 (쥐)[2]
1번 염색체 (쥐)
PDCD1의 유전자 위치
PDCD1의 유전자 위치
자리1|1 D시작93,966,027 bp[2]
93,980,278 bp[2]
RNA 발현 패턴
Bgee
인간(동원체)
최상위 발현
  • 림프절

  • 과립구

  • 비장

  • right auricle

  • 충수

  • 혈액

  • 좌심실

  • mucosa of transverse colon

  • upper lobe of left lung

  • 편도
최상위 발현

  • 가슴샘


  • mesenteric lymph nodes

  • 수정란

  • cumulus cell

  • primary oocyte

  • 비장

  • 혈액

  • 난소
추가 참조 발현 데이터
BioGPS
추가 참조 발현 데이터
유전자 온톨로지
분자 함수
  • 단백질 결합
  • signal transducer activity
세포 성분
  • integral component of membrane
  • 세포막
  • 세포막
  • external side of plasma membrane
생물학적 과정
  • positive regulation of apoptotic process
  • multicellular organism development
  • T세포 보조자극
  • 세포자멸사 과정의 하향조절
  • positive regulation of T cell apoptotic process
  • 체액성 면역 반응
  • negative regulation of tolerance induction
  • 면역 과정
  • 세포자살
  • 신호전달
출처: Amigo / QuickGO
동원체
인간
앙트레

5133

18566

앙상블

ENSG00000188389
ENSG00000276977

ENSMUSG00000026285

유니프롯

Q15116

Q02242

RefSeq (mRNA)

NM_005018

NM_008798

RefSeq(단백질)

NP_005009

NP_032824

위치(UCSC)Chr 2: 241.85 – 241.86 MbChr 1: 93.97 – 93.98 Mb
PubMed 검색[3][4]
위키데이터
인간 보기/편집쥐 보기/편집

PD-1은 활성화된 T세포(면역세포)의 표면에 있는 단백질이다. CD279, 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이라고도 한다.

암세포의 표면에 있는 단백질인 PD-L1, PD-L2가 T세포의 표면에 있는 단백질인 PD-1과 결합하면, T세포암세포를 공격하지 못한다. 면역항암제T세포의 PD-1 수용체에 달라붙어 암세포의 회피 기능을 억제한다. MSD키트루다옵디보가 작용하는 원리다.[5]

같이 보기

각주

  1. ENSG00000276977 GRCh38: Ensembl release 89: ENSG00000188389, ENSG00000276977 - 앙상블, May 2017
  2. GRCm38: Ensembl release 89: ENSMUSG00000026285 - 앙상블, May 2017
  3. “Human PubMed Reference:”. 《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, U.S. National Library of Medicine》. 
  4. “Mouse PubMed Reference:”. 《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, U.S. National Library of Medicine》. 
  5. 면역세포 즉시 출동, 교란공작 막고 암세포 소탕, 중앙SUNDAY, 2016.02.28
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.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