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IV 감염과 질환의 WHO 질환 진행 단계 체계

HIV 감염과 질환의 WHO 질환 진행 단계 체계는 1990년 세계 보건 기구(WHO)가 처음 제작하여 2005년 9월 개정한 WHO 질환 단계 체계이다.[1] WHO의 질환 진행 단계 체계는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사용하는 질환 진단 접근법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에서 징후성 HIV가 일으키는 질병의 진행 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. 질환성 HIV/AIDS 감염 증상 대부분은 건강한 사람들에게서는 보이지 않는 기회 감염이 대부분이다. 질환 진행 단계 체계는 어린이와 성인이 서로 다르다.

질환 진행 단계

아래는 보편적인 질환 진행 단계 분류이다.

  • 제1기: HIV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, 에이즈로 분류되지 않는다.
  • 제2기: 점막피부에서 경미한 증상이 나타나며, 재발성 상기도 감염이 나타난다.
  • 제3기: 설명할 수 없는 한 달 이상의 만성 설사 증상과 심각한 박테리아 감염, 폐결핵 증상이 나타난다.
  • 제4기: 뇌의 톡소플라스마증, 식도, 기도, 기관지, 폐의 칸디다증, 카포시육종 증상이 나타난다. 이러한 증상들은 에이즈의 지표증상으로 사용된다.

같이 보기

  • 어린이의 HIV 감염과 질환의 WHO 질환 진행 단계 체계
  • 성인과 청소년의 HIV 감염과 질환의 WHO 질환 진행 단계 체계

각주

  1. WHO (1990). “Interim proposal for a WHO Staging System for HIV infection and Disease.” (PDF). 《Wkly Epidemiol Rec》 65 (29): 221–224. PMID 1974812. 2013년 3월 21일에 원본 문서 (PDF)에서 보존된 문서.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. 

참고 문헌

  • Jennifer L. Weinberg; Carrie L. Kovarik, MD (2010년 3월). “The WHO Clinical Staging System for HIV/AIDS”. 《Virtual Mentor》 12 (3): 202-206. doi:10.1001/virtualmentor.2010.12.3.cprl1-1003. 
  • v
  • t
  • e
HIV/AIDS 둘러보기
HIV/AIDS
HIV
질환
역사
사회
문화
지역/국가별 HIV/AIDS 범유행 상황
아프리카
  • 앙골라
  • 베냉
  • 보츠와나
  • 콩고 민주 공화국
  • 이집트
  • 에스와티니
  • 에티오피아
  • 가나
  • 기니
  • 코르티부아르
  • 케냐
  • 레소토
  • 마다가스카르
  • 말라위
  • 말리
  • 모잠비크
  • 나미비아
  • 니제르
  • 나이지리아
  • 르완다
  • 세네갈
  • 탄자니아
  • 남아프리카
  • 우간다
  • 잠비아
  • 짐바브웨
북아메리카
  • 캐나다
  • 멕시코
  • 엘살바도르
  • 과테말라
  • 온두라스
  • 니카라과
미국
카리브해
  • 아이티
  • 자메이카
  • 도미니카 공화국
남아메리카
  • 볼리비아
  • 브라질
  • 콜롬비아
  • 가이아나
  • 페루
아시아
  • 아프가니스탄
  • 아르메니아
  • 아제르바이잔
  • 대한민국
  • 바레인
  • 방글라데시
  • 부탄
  • 캄보디아
  • 중화인민공화국 (윈난성)
  • 동티모르
  • 인도
  • 인도네시아
  • 이란
  • 이라크
  • 일본
  • 요르단
  • 북한
  • 라오스
  • 말레이시아
  • 미얀마
  • 네팔
  • 파키스탄
  • 필리핀
  • 사우디아라비아
  • 스리랑카
  • 중화민국
  • 태국
  • 아랍에미리트
  • 튀르키예
  • 베트남
유럽
오세아니아